전기/전기 기초 이론
접지선의 굵기 A = 0.0496 * In[㎟] 의 계산식 (수정)
전기매니아
2012. 12. 28. 21:38
※ 안내
아래의 접지선 굵기 계산식이 내선규정 개정이 되어 새로운 계산조건과 계산식으로 개정되어졌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라며 아래의 식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 (2018.06.25 수정)
1)접지선의 굵기를 결정하는 3대 요소
① 전류용량
② 기계적 강도
③ 내식성
2) 접지선의 온도 상승
동선에 단시간 전류가 흘렀을 경우 온도 상승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Θ = 0.008 ( I / A)² • t [℃]
Θ : 동선의 상승온도 [℃] I : 전류
A : 동선의 단면적 [㎟] t : 통전시간[s]
3) [계산조건]
• 접지선에 흐르는 고장전류의 값은 전원측 과전류 차단기 정격전류의 20배로 한다.
• 과전류 차단기는 정격전류의 20배의 전류에서는 0.1초 이하에서 끊어지는 것으로 한다.
• 고장전류가 흐르기 전의 접지선 온도는 30[℃] 로 한다.
• 고장 전류가 흘렀을 때의 접지선의 온도는 150[℃] 로 한다.
(그러므로 동선의 상승온도는 150 - 30 = 120[℃]이다)
4) 3)항의 [계산조건]에 의거하여
접지선의 온도 상승 식에 대입하면
Θ = 150 - 30 = 120[℃] I = 20 In
t = 0.1[s] 이므로
120 = 0.008 ( 20 In / A )² * 0.1 의 식이 되며
이것을 계산하면
120 = 0.32 * (In/A)²
120 / 0.32 = (In/A)²
√(120 / 0.32) = In/A
A = In / √(120/0.32)
A = 1 / √(120/0.32) * In
A = 1 / √(120/0.32) * In = 0.0516 * In
∴ A = 0.052 * In[㎟] In: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 전류(A)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