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건축,토목

시설개론 핵심포인트

전기매니아 2013. 8. 11.
반응형

 


 

 

시설개론 핵심포인트


1. 강설량이 많은 지역에서 단기응력의 조합

  → 고정하중 + 적재하중 + 적설하중


2. 지내력이 큰 지반부터 차례로 열거

  → 연암반 → 밀실한 자갈층 → 굳은 모래층 → 굳은 진흙층

  ( 장기응력도는 경암반400㎏/㎠, 연암반200㎏/㎠, 자갈30㎏/㎠, 자갈+모래 20㎏/㎠, 모래+점토 15㎏/㎠, 모래 또는 점토 10㎏/㎠ )


3. 지내력 시험을 하는 주된 이유는?

  → 지반에 적당한 기초를 결정하기 위해


4. 지내력 시험에 관한 것

   ㉠ 재하판의 크기는 최소 900㎠, 표준 2,000㎠(30㎝-45㎝각 또는 원형의 강판)    이상이어야 하며 클수록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

   ㉡ 매회 재하의 하중은 1톤(t)이하 또는 예정파괴 하중의 1/5이하로 한다.

   ㉢ 각 적하에 의한 침하가 멎을 때까지 침하량을 측정한다.

   ㉣ 침하의 증가가 1일(2시간)에 01.㎜이하로 되었을때는 침하가 정지한 것으로   한다.

   ㉤ 총 침하량이 2㎝에 도달하였을때의 하중 응력을 단기허용지내력이라 하며    그 2/3를 장기허용지내력이라 한다.


5. 다음 지반개량공법 중 점토질 개량공법인 것은 ?

   답: ① 치환공법

        ② 센드드레인 공법

        ③ 페이퍼 드레인 공법

        ④ 생석회공법


6. 콘크리트 구조물 내구성 저하요인 중 내적요인은 ?

  → 알칼리 골재반응과 점토광물


7. 콘크리트 양생법 설명이다 다르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① 습윤양생은 수중 살수 양생 하는 대중적인 방법이다

  ② 증기양생은 단기간에 강도를 원하는 경우에 사용하며 고온 고압 콘크리트의 부재에 사용하며, 알루미나 시멘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③ 전기양생은 철근의 부식이 염려되지만 한중톤크리트에 사용한다

  ④ 고주파양생은 거푸집과 철판을 놓고 고주파를 흘려서 양생한다

  ⑤ 오토 브레이크양생은 대기압이 넘는 압력용기가마에서 사용하며 실리카 시멘트에는 사용할 수 없다.

답 : ⑤ - 실리카 시멘트에도 사용할 수 있다


8. 벽돌의 규격

종 별

길 이(mm)

너 비(mm)

두께(mm)

표준형(장려형)

190

90

57

일반형(기존형)

210

100

60

내화벽돌

230

114

65

허용값(%)

±3

±3

±4

(2)벽돌의 품질

벽돌은 강도가 크고 흡수율이 적으며 모양이 바르고 흠과 결함이 없어야 한다.

등급

흡수율

압축강도

무게

형상

소성정도

구음

허용압축강도

1 급

20%이하

150㎏/㎠이상

2.2㎏/장

양호

양호

청음

22㎏/㎠ 이상

2 급

23%이하

100㎏/㎠이상

2.0㎏/장 

양호

보통

탁음

15㎏/㎠이상

특수고강도벽돌

15%이하

150-250㎏/㎠이상

1.7㎏/장

양호

양호

청음

50-250㎏/㎠이상

(3) 벽돌 소요량

  ① 정미량 (할증 고려하지 않는 수량)

     

기준

벽두께

수량

 1 ㎡ 당

0.5B

75매

1.0B

149매

1.5B

224매

2.0B

298매

  ② 할증율

     시멘트벽돌 5%, 블록 4%, 붉은 벽돌과 치장벽돌  3%

  ③ 쌓기 모르타르량 (벽돌 1,000 매당 )

     0.5B -0.25 ㎥,   1.0B -0.33 ㎥ ,

   1.5B -0.35 ㎥,   2.0B -0.36 ㎥


9. 벽돌 쌓기법 종류

      

            영식쌓기

         

              불식쌓기

       

          화란식쌓기

       

             미식쌓기

10. 벽돌벽체 내쌓기에 대한 설명

  → 내쌓기는 보통 1/8B한 켜씩 내쌓고 내미는 정도는 2B 한도로 한다.

     마구리 쌓기로 하는 것이 강도상 유리하다.

11. 

1) 콘크리트 크리프(Creep)

   콘크리트에 일정한 하중을 계속 가하면 하중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도 시간과 더불어 변형이 증가해 가는 현상을 말한다.

 ① 콘크리트 크리프 증가원인

   ㉠ 재령이 적은 콘크리트에 재하시기가 빠를수록  

   ㉡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크리프가 증가된다

   ㉢ 크리프 계수는 옥내가 3.0 , 옥외가 2.0이다

2) 레이턴스

  콘크리트를 부어 넣기 후에 수분의 상승에 따라 그 표면에 나오는 미세한 물질

3) 블리딩

  콘트리트 타설후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 있어서 시멘트,

  골재입자 침하에 따라 물이 분리 상승되어 콘크리트 표면에 떠오르는 현상

4) 균열

  균열에는 콘크리트 부동침하에 의하여 생기는 침하 수축균열과 표면의 급속건조에 의해 생기는 플라스틱 수축균열이 있다. 

5) 콘크리트 재료분리원인과 대책

원      인

대         책

①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지나치게 큰 때

② 입자가 거친 잔 골재를 사용하는 때

③ 단위 골재량이 너무 많은 때

④ 단위수량이 너무 많은 때

⑤ 배합이 적절하지 않은 때

① 잔골재율을 증가시킨다.

② 물시멘트비를 작게 한다.

③ 잔골재중의 0.15-0.3mm 정도

   의 세립분을 증가시킨다.

④ A.E제, 플라이애시 등을 사용

   한다.

6) 중성화에 대한 방지대책

  ① 타설이음을 적게하며 기밀성이 좋은 마감재로 콘크리트 표면처리를 한다

  ② ( W/C )물시멘트비를 작게 한다.

  ③ 균일한 배합의 양질의 콘크리트와 혼화재를 사용한다.

  ④ 피복두께를 크게 하고 시공결함을 없게 한다.

  ⑤ 제치장 콘크리트보다는 모르타르나 페인트 도장으로 마감처리 한다.

12. 철근콘크리트보에서 늑근을 쓰는 주된 이유는

  ㉠ 사인장력 및 전단력에 의한 균열방지

  ㉡ 주근 상호간의 위치 보전

  ㉢ 철근 조립 용이

  ㉣ 피복두께 유지


13. 생콘크리트가 거푸집에 대한 콘크리트 측압에 대한 설명 ?

  ① 콘크리트의 슬럼프 값이 클수록 측압은 크다.

  ② 콘크리트 붓기 속도가 빠를수록 측압은 크다.

  ③ 온도가 낮을수록 측압은 크다.

  ④ 콘크리트 다짐이 충분할수록(진동다짐일수록) 측압은 크다

  ⑤ 콘크리트 비중이 클수록 측압은 크다.

  ⑥ 거푸집의 수평단면이 클수록 측압은 크다.


14. 철근 콘크리트 기둥 구조제한에 관한 설명 것은?

  ① 기둥은 높이가 최소 단면적 치수의 3배 이상,

     기둥단면적의 최소치수는 20cm 이상,

     최소 단면적은 600㎠ 이상인 수직압축 부재이다. 최소 지름은 주요지점간 거리의 1/15 이상으로 한다.

  ② 기둥의 축방향의 수직철근, 즉 세로철근을 주근이라 한다.

  ③ 장방형 기둥을 둘러싸고 있는 수평철근을 대근(띠철근)이라 한다.

  ④ 원형기둥의 주근을 나선형으로 둘러싼 철근을 나선철근이라 한다.

  ⑤ 띠철근이나 나선철근은 기둥의 좌굴 방지와 수평력에 대한 전단력을 보강하고 콘크리트가 수평으로 터져 나가는 것을 구속한다.   .

  ⑥ 기둥과 기둥간의 간격(span)은 5-6m 정도가 경제적이다.


15.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보의 유효깊이는 대략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 SPAN의 1/12 정도 ( 보의 유효깊이(septh)은 경간(span)의 1/10-1/12 정도)


16. 재료분리 현상의 발생원인

  ① 단위 골재량이 너무 많거나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지나치게 큰 때

  ② 입자가 거친 잔 골재를 사용하는 때

  ③ 단위수량이 너무 많거나 배합이 적절하지 않은때


17.  다음 지붕 구조 설명중  다르게 표시한 것은 ?


. 


18. 금속판 잇기에서 거멀접기를 하는 주된 이유는?

  거멀접기는 금속판 잇기에서 온도에 따른 신축ㆍ팽창에 대비하기 위함


19. 타일 적산문제


20. 지하방수나 아스팔트 펠트 삼투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재료는?

① 석유의 원유를 증류시킨 반액체 상태이다.

② 신축력이나 교착력이 우수하다.

③ 연화점이 낮아 외기온도 영향이 적은 지하실 방수 및 아스팔트 펠트 삼투용 외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21. 결로 방지를 위한 대책은?

  ① 벽체의 표면온도를 실내의 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높게 할 것.

  ② 환기를 적절히 하여 실내공기의 수증기를 감소한다.

  ③ 단열강화에 의한 열저항을 증대한다.

  ④ 실내 수증기의 발생을 억제한다.

  ⑤ 각 실간의 온도차를 적게한다.


22. 다음 쪽매의 명칭과 그림의 짝지음 인 것은?

① 반턱쪽매  ② 제혀 쪽매  ③ 오니쪽매    ④ 빗쪽매     ⑤ 딴혀쪽매

   

 

 

 

 

 

 

   

 

 

 

 

 

 

 

 

 

    

 

 

 

 

 

 

  

 

 

 

 

 

   

 

 

 

 

 

 

 

 

 

 

 


23.  알칼리성 큰 순서

  → 회반죽  석회성 플라스터  석고성 플라스터  시멘트 모르타르


24. 페인트 도장에 있어서 지나치게 건조제를 많이 넣었을 때의 정벌칠 결과

  → 건조재를 너무 많이 혼합하면 도막에 균열이 생기므로 주의를 요한다


25. 용어와 단위

  ① 열전도율 - ㎉m․h․℃        ② 열관류율 - ㎉㎡․h․℃

  ③ 난방도일 - ℃․day              ④ 절대온도 - 。K

  ⑤ 비열 - ㎈/g․℃


26. 표준상태에서 저압온수 난방과 저압증기 난방의 방열기1㎡당 방열량의 조합

  → 450 kcal/㎡․h, 650 kcal/㎡․h


27. 최고층에 설치된 세정밸브(Flush valve)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하여서는 수면까지의 연직거리는 얼마 정도가 확보되어야 하는가 ? (단, 고가수조로부터 기구까지 유체가 흐르는 동안 발생되는 마찰손실수두는 1m로 한다.)

  → F.V의 필요압력이  0.7㎏/㎡이므로 이것을 mAq로 고치려면 × 10, 여기에 마찰손실 수두를 합치면 된다( 7m +1m=8m )


28. 수격작용에 대한 설명인 것은?

  ① 수격작용은 밸브를 급속도로 개폐할 때 발생한다.

  ② 수격작용으로 인한 수압은 유속에 비례한다.

  ③ 수격작용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생기구 근처에 공기실을 설치한다.

  ④ 수격작용으로 인하여 배관이 진동되고, 소음이 발생되기도 한다.

  ⑤ 관경을 굵게 하여 수격작용을 완화시킨다.


29. 건물의 파이프 샤프트(pipe shaft)내 배관에 색 표시

   종   류

  식   별  색

 물

 증기

 공기

 가스

 산 ․알칼리

 기름

 전기

 청색

 진한 적색

 백색

 황색

 회색

 진한 황적색

 엷은 황적색


30. 밸브 중에서 유량 조절이나 지수전으로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밸브는?  → 체크 밸브

  ① 체크 밸브(역지 밸브)에는 스윙형(수직 수평형, 2B 이상의 대구경)과 리프트형(수평배관, 1½B 이하의 소구경)이 있으며 유량조절이 불가능하다.

  ② 플로우트 밸브 - 유량 조절이 가능하다.

  ③ 게이트 밸브 - 슬루스 밸브라고도 하며 급수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④ 글로우브 밸브 - 지수전(stop valve)


31. 통기 수직관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수 수평관 최하류에 연결된 관으로 회로 통기의 능력을 촉진시켜 주는 통기관은?

  → 도피 통기관  

루프 통기관에서 8개 이상의 기구를 담당하거나 대변기가 3개 이상 있는 경우 통기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설치한 통기관으로, 배수 수평 지관의 하류에서 배수 수직관과 가장 가까운 기구 배수관의 접속점 사이에 설치해서 루프 통기관에 연결시킨다. 도피 통기관의 관경은 배수관의 관경의 1/2이상 또는 40㎜이상이다.


32. 역류방지기(Vacuum breaker)는 대변기의 어느 방식에 부착 사용되는 것인가 ?     → 세정 밸브식(flush valve type)

( 역류방지기는 진공제동기, 진공파괴상태를 파괴해서 공기를 도입하는 장치이다.)


33. 간접배수와 관계없는 것은 ?  ④

  ① 응축기에서 배수            ② 급수용 탱크에서의 배수

  ③ 세탁기에서 배수            ③ 세면기에서 배수 

  ⑤ 증기 및 온수계통에서 배수


34. 105인용 수세식 변소에 있어서 정화조의 부패조 용량

  →  V = 1.5  (n-5)×0.1 = 1.5 (105- 5)×0.1 = 11.5(㎥)

       11.5㎥ → 12㎥으로 설계


35. 화재 탐지 설비에 관한 설명

  ① 정온식 감지기는 주위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보일러실설

  ② 차동식 감지기는 주위 온도가 일정한 비율로 상승할 때 작동( 일반 거실 설치)

  ③ 연기 감지기는 검지부에서 연기 등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복도, 계단 및 경사로등에 설치한다.

  ④ 열 감지기는 정온식 감지기로서 천장고가 15m 이하인 실에 설치한다.

  ⑤ 보상식 감지기가 공기의 팽창 및 금속의 용융을 이용한 감지기로 정온식과 차등식 성능을 가진다.


36. 소방서에 통보하는 설비에 대한 설명

  ① 사설 빌딩용 발신기 이동 장치로는 MM 발신기 중 주로 M형 2급이 사용된다.

  ② 비상 통보기는 자동 화재 통보 설비의 수신기 부근에 설치한다.

  ③ MM 발신기 중 M형 2급은 옥내용이다.

  ④ 비상 통보기의 설치 높이는 밑바닥 중심까지 80150㎝로 한다.


37. 펌프차의 호스와 연결해서 건물내의 소화전에 송수하기 위한 시설은?

  → 사이어미즈 커넥션(siamese connection)


38. 스프링클러 구조의


















반응형

'전기 > 건축,토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제3조의5 관련) - <개정 2017. 2. 3.>  (0) 2018.05.10
평형 용어 정리  (0) 2015.07.04
토지이용계획확인서의 이해  (0) 2013.08.11
생활에 유용한 부동산 용어  (0) 2013.08.11
준공시 체크사항  (0) 2009.10.09
설계시 체크사항  (0) 2009.10.09
공정별 작업순서  (0) 2009.10.09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