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기 기초 이론

전기용어

전기매니아 2009. 9. 2.
반응형

● 전기용어

① 뱅크 : 전로에 접속된 변압기 또는 콘덴서의 결선 상 단위

② 수구(受口) : 소켓, 리셉터클, 콘센트 등의 총칭

③ 한류퓨즈 : 단락전류를 신속히 차단하며 또한 흐르는 단락 전류의 값을 제한하는 성질을 가진 퓨즈

④ 접촉전압 : 지락이 발생된 전기기기 기구의 금속제 외함등에 인축이 닿을 때 인체에 가해지는 전압


● 자가발전기

① 각 극에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한다.

② 전압계 : 각 상에 설치한다.

③ 전류계 : 각 선에 설치한다.


● 발전기의 병렬운전조건(추파윙크)

①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②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③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④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 단상변압기 병렬운전조건[극정저임]

① 각 변압기의 극성이 같을 것

② 각 변압기의 권수비 및 1,2차 정격전압이 같을 것

③ 각 변압기의 저항과 누설리액턴스 비가 같을 것

④ 각 변압기의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3상인 경우 ⑤상회전방향이 같을 것⑥위상변위가 같을 것


● 피뢰기 구비조건[제충속상]

① 제한전압이 낮을 것

② 충격 방전개시 전압이 낮을 것

③ 속류차단능력이 클 것

④ 상용주파 방전개시 전압이 높을 것

  ※ 정격전압-속류가 차단되는 최고의 교류전압

     제한전압-피뢰기 동작시 단자전압의 파고치


● 피뢰기 설치장소[가발배고]

① 가공전선과 지중전선과의 접속점

② 발 변전소의 인입구 및 인 출구

③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 측 및 특 고압 측

④ 고압 및 특 고압으로부터 수전 받는 수용가의 인입구


● 갭레스형 피뢰기의 주요특징[직속속]

① 직렬갭이 없음으로 소형화, 경량화 할 수 잇다.

② 속류가 없어 빈번한 작동에도 잘 견딘다.

③ 속류에 따른 특성요소의 변화가 적다.


● 코로나 현상 : 전선로나 애자부근에 임계전압 이상의 전압이 가해지면 공기의 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낮은 소리나 엷은 빛을 내면서 방전되는 현상

㉠ 나쁜영향[코잡고오소]

  ① 코로나 손실로 인한 송전용량이 감소한다.

  ② 잡음으로 인한 전파장해가 생긴다.

  ③ 고주파로 인한 통신선의 유도장해가 생긴다.

  ④ 오존으로 인해 전선이 부식한다.

  ⑤ 소호리액터의 소호능력을 저하시킨다.

㉡ 방지대책 : 전선주위의 전위경도를 낮춤으로써 코로나 임계전압을 상승시켜 코로나 발생을 방지한다.

  ①굵은 전선을 사용한다.

② 복(다)도체 방식을 채용한다.(즉 전선의 바깥지름을 크게 한다.)

③ 가선금구를 개량한다.


● 복(다)도체 방식의 장단점

• 장점 [안전선]

① 안정도를 증대 시킬수 있다.

② 전선표면의 전위경도를 저감시켜서 코로나 개시전압이 높아지므로 코로나손실을 줄일 수 있다.

③ 선로의 인덕턴스는 감소되고, 정전용량은 증가하여 송전용량이 증가

•단점 [단풍정시]

① 단락 시 흡입력이 커지므로 충돌로 인한 전선의 표면이 손상된다.

② 풍압하중이 크므로 전선의 진동이 크다.

③ 정전용량이 커지므로 페란티 현상이 생길 우려가 높다

④ 시설비가 비싸다


● 지중전선로를 채택하는 주요 이유[수도(가)보(이)뇌]

① 수용밀도가 높은 지역에 공급하는 경우

② 도시의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③ 보안상의 제한 조건 등으로 가공 전선로를 시설할 수 없는 경우

④ 뇌 ․ 풍수해 등에 의한 사고에 대한 높은 신뢰도가 요구 되는 경우


● 과전류차단기의 시설제한 개소 3 가지 [접다저-졌다졌더]

① 접지공사의 접지선

② 다선식 선로의 중성선

③ 저압 가공전선로의 접지측 전선


● 연축전지의 고장에 따른 현상의 추정원인?

1) 초기 고장 :

① 전 셀의 전압 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사용개시시의 충전 부족

2) 우발 고장 :

① 전(全)셀의 전압 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낫다

   →충전부족으로 장시간 방치 한 경우

② 전 셀의 비중이 높다

   →증류수가 부족한 경우(액면저하로 극판이 노출된다)

③ 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

   →충전전압이 높고 실온이 높을 경우

④ 전해액의 변색, 충전하지 않고 방치 중에도 다량의 가스가 발생→불순물 혼입


● 축전지의 충전방식

① 보통충전

② 급속충전

③ 부동충전 :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하게 하는 방식

④ 세류충전

⑤ 균등충전 : 부동충전방식에 의하여 사용할 때 각 전해조에서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1~3개월 마다 1회씩 정전압으로 10~12시간 충전하여 각 전해조의 용량을 균일화하기 위한 방식

● 알칼리축전지의 장단점?

• 장 점  ① 방전 시 전압변동이 적다

         ② 사용온도 범위가 넓다

         ③ 충 ․ 방전 특성이 양호하다.

         ④ 진동과 충격에 강하다

         ⑤ 수명이 길다( 연 축전지의 3~4배)

• 단 점  ① 연축전지보다 공칭전압이 낮다.

         ② 가격이 비싸다


● 축전지 설비의 구성요소[축제보충]

 : 축전지, 제어장치, 보안장치, 충전장치


● MCC의 기기 구성 장치[기차제보]

 : 기동장치, 차단장치, 제어장치, 보호장치


● 옥내저압배선 간선의 전선굵기를 결정하는 3요소

 : 허용전류, 전압강하, 기계적강도

 cf)) 허용전류의 종류 : 단락 시 허용전류, 순시 허용전류,

                       연속 사용 시 허용전류,


● 불평형 부하의 제한

① 저압, 고압 및 특별고압수전의 3상3선식 또는 3상4선식에 서 불평형 부하의 한도는 단상접속부하로 계산하여 설비불평형율이 30[%]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이 제한에 따르지 아니 할 수 있다

 ㉠ 저압수전에서 전용변압기 등으로 수전하는 경우

 ㉡ 고압 및 특별고압수전에서는 100[KVA]이하의 단상부하인 경우

 ㉢ 특별고압 및 고압수전에서는 단상부하 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이하인 경우

 ㉣ 특별고압수전에서는 100[KVA]이하의 단상변압기 2대로 역V결선하는 경우

② 계약전력 5[KW]정도 이하의 설비에서 소수의 전열기구류를 사용할 경우 등 완전한 평형을 얻을 수 없을 경우에는 단상 3선식의 한도인 40[%]를 초과 할 수 있다


● 전력퓨즈(Power fuse) : 6.6[KV]이상에 사용

가) 전력퓨즈의 역할 2가지[어부]

① 어떤 일정한 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

② 부하 전류를 안전하게 통전시킨다.


나) 전력퓨즈 장점 [변소보차]

① 변성기나 릴레이가 필요 없다.

② 소형, 경량이고 가격이 싸다.

③ 보수가 간단하다.

④ 차단 용량이 크고 고속 차단한다.


다) 전력 퓨즈의 단점 [과재차비-과재를 풀면 차비를 준다]

① 과도전류에 용단되기 쉽고 결상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재투입이 불가능하다.(가장 큰 단점)

③ 차단 시 과전압이 발생한다.

④ 비보호 영역이 있으며 사용 중 열화 하여 결상되기 쉽다.


라) 전력퓨즈의 단점 [과재차비-과재를 풀면 차비를 준다]

① 정격전압

② 전류-시간 특성

③ 사용장소

④ 정격전류

⑤ 정격(차단)용량

⑥ 최소차단 전류


마) 전력퓨즈의 성능(특성) 3가지[전단용]

① 전 차단 특성

② 단시간 허용특성

③ 용단 특성


바) 한류형 전력퓨즈의 특성

① 허용특성 : 어느 시간 통전하여도 용단 특성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전류의 한계와 시간의 관계

② 용단 특성 : 과전류가 흐르기 시작할 때부터 강체가 용단하여 아크가 발생 하기까지의 시간과 전류의 관계

③ 한류특성 : 단락 전류가 흐르게 될 때 그 단락 전류를 어느 정도까지 적게 억제하는가를 나타낸 것부터 아크가 소멸 하기까지의 시간과 전류의 관계

④ 차단 특성 : 퓨즈에 과전류가 흐르기 시작 할 때부터 아크가 소멸하기까지의 시간과 전류의 관계


● 자가용전기설비 중요검사(시험)

① 절연저항시험

② 절연내력시험

③ 절연유 내압시험 및 산가측정

④ 계전기동작시험

⑤ 계측장치 설치상태검사

⑥ 외관검사

⑦ 접지저항시험


● 단상유도전동기 기동방식 4가지 : 반발기동형, 반발유도형, 콘덴서기동형, 분상기동형, 세이딩코일형

   ▶분상기동형 회전방향을 바꾸려면 : 기동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한다.


● 리액터 기동방식대한 설명

   리액터를 전동기 권선에 직렬로 접속하고 시동후 리액터를 단락시키는 방식으로 리액터의 전압강하에 의해 전동기에 걸리는 전압을 감소시켜 감 전압을 시동하는 방식


● 전력계통의 리액터 종류

① 병렬(분로)리액터 : 페란티 현상방지

② 한류리액터 : 단락전류를 제한하여 차단기 용량을 줄인다.

③ 직렬리액터 : 제5고조파를 제거하여 전압의 파형을 개선

④ 소호리액터 : 아아크를 소명하고 이상 전압발생 방지


● 전력용콘덴서에 직렬리액터를 사용하는 이유와 직렬리액터의 용량?

① 이 유 : 제 5 고조파를 제거하여 전압의 파형개선

② 용량결정기준 : 이론상-콘덴서 용량의 4[%]

                 실제상-콘덴서 용량의 6[%](2%여유)

※ 진상용콘덴서는 본선에 직접 접속하고 전용의 개폐기,

   퓨즈 등을 시설하지 말것


● 전력용콘덴서(목적-역률개선)와 함께 설치되는 방전코일과 직렬리액터의 용도?


• 방전코일 : 개폐기 개방 시 잔류 전하를 방전시켜 잔류전하로 인한 인체의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재투입시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을 방지한다.

• 직렬리액터 : 제 5고조파를 제거하여 전압의 파형 개선


● 차단기의 트립 전원방식을 4가지 간단히 설명[과부직콘]

① 과전류 트립방식 : 변류기 2 차 전류를 전자 솔레노이드에 흘러서 트립시키는 방식 (상시여자방식, 순시여자방식)

② 부족전압 트립방식 : 트립 장치의 전자솔레노이드에 인가되고 있는 전압의 저하로 트립되는 방식

③ 직류전압 트립방식 : 전자솔레노이드로 트립시키는 것으로, 축전지 전원에 의한 트립 방식

④ 콘덴서 트립방식 : 축전지 전원이 없는 주회로에서 보조 변압기와 정류기를 종합해서 충전하고 그 에너지로 전자솔레노이드를 여자시켜 트립시키는 방식


● 단락비가 큰 교류발전기는 일반적으로 기기의 치수가 (크고), 가격은 (높고), 철손 및 기계손이 (많고), 안정도가 (높고), 전압 변동률은 (낮고), 효율은 (낮다)


● 교류용 적산 전력계에 대한 물음?

① 잠동 현상?

   계기의 원판이 무부하 상태에서 회전하는 현상

② 잠동현상을 막기 위한 유효한 방법은?

   ⓐ 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 원판에 작은 철편을 붙인다.

적산전력계가 구비해야 할 특성[과부온기내](과부가안기네)

   ⓐ 과부하 내량이 클 것

   ⓑ 부하특성이 좋을 것

   ⓒ 온도 및 주파수 보상이 있을 것

   ⓓ 기계적 강도가 클 것

   ⓔ 내부 손실이 적을 것


● 저항측정방법이나 측정계기[케콜(라)휘(트)메(니)스]

① 캘빈더블브리지 : 굵은 나전선의 저항

② 코올라시브리지 : 전해액의 저항

③ 휘트니스톤브리지 : 수천옴의 가는전선의 저항

④ 메거 : 옥내전등선의 절연저항


● 접지저항 측정방법? 코올아시 브리지법과 접지저항계


● 여자돌입전류에 대한 오동작방지법(변압기)[비고감]

① 비대칭피저지법

② 고조파억제법

③ 감도저하법


● 부등율이 크다는 의미는

  : 최대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의 사용시간대가 서로 다르다


● 부하율이 적다는 의미는

   부하율이란 전력소비기기를 유효하게 사용하는 정도

① 공급 설비를 유용하게 사용하지 못한다.

② 설비이용률이 낮고 부하전력변동이 심하다


● 플로어덕트 : 플로어 덕트는 통신선 혹은 전력선로용 전선(혹은 케이블)을바닥에 배선하는 경우 바닥에 포설되는 관로로서 600[㎜]간격마다 인출구(혹은 인선트)를 갖는 강판제를 갖는 덕트이고, 중/대규모의 사무실, 백화점, 실험실 등에서 통신선 혹은 전력선의 배선용


● 배전선전압을 조정하는 방법 [승주유]

① 승압기설치

② 주상변압기 탭조정

③ 유도전압 조정기 사용


● 전력계통의 단락용량의 경감대책[고모직고한계]

① 고 임피던스계를 채택한다

② 모선계통을 분리 운용한다

③ 직류연계

④ 고장전류제한기 사용

⑤ 한류리액터를 설치한다.

⑥ 계통전압의 격상


● 고조파 억제대책 [교변기계]

① 교류 필터설치

② 변환기의 다펄스화

③ 기기의 고조파 내량증가

④ 계통 구성고려


● 부하의 역률 개선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역률을 개선하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부하나 변압기에 전력용 콘덴서를 병렬로 접속하면 진상 전류가 공급되어 지상전류를 작게 하여 역률을 개선한다.

    (무효전력)

나. 부하설비의 역률이 저하하는 경우 수용가가 볼 수 있는 손해를 두 가지만 쓰시오.

    ① 전압강하가 크다

    ② 전력손실이 증가

    ③ 전기요금이 증가


● 역률 과 보상 시 어떻게 되는가?

① 앞선 역률에 의한 전력손실이 생긴다.

② 모선 단자 전압의 과 상승(페란티현상)

③ 설비용량이 감소하여 과부하가 될 수 있다.

④ 변안기 온도상승

⑥ 계전기 오동작

⑦ 과보상에 의한 고조파 증폭되어 소음이 커진다.


● 전자릴레이의 장단점?

• 장점[개과 온전(할)가]

① 개폐 부하용량이 크다.

② 과부하 내량이 크다.

③ 온도 특성이 양호하다.

④ 전기적 노이즈에 강하다

⑤ 가격이 싸다.

• 단점[소동 접(하면) 기소]

① 소비전력이 크다

② 동작 속도가 늦다

③ 접점이 소모되어 수명이 짧다.

④ 기계적 충격, 진동에 약하다.

⑤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 전력계통의 절연협조에 대하여 그 의미를 상세히 설명하고 관련기기에 대한 기준충격절연강도를 비교하여 절연협조가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시오. (단, 관련 기기는 선로 애자, 결합콘덴서, 피뢰기, 변압기에 대하여 비교하도록 한다.)

• 설명 : 송전계통에는 많은 기계기구등이 있는데 이들의 절연강도는 서로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절연설계에 있어서 발생하는 이상전압 기기의 절연강도, 피뢰기의 3자 사이의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즉 보호기와 피보호기의 상호 절연의 협조 관계를 말한다.

• 기준충격절연강도 비고 : 선로애자(920㎸), 결합콘덴서(900㎸), 변압기(750㎸), 피뢰기(625㎸)


● 계기용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 퓨즈 부착여부 및 이유?

① 1차 측 - 부착 한다

   PT의 고장이 선로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며 고압이상의 경우에는 COS 또는 PF로써 0.5[A] 또는 1[A]를 사용한다.

② 2차 측 - 부착 한다

   부하의 고장 등으로 인한 2차 측의 단락 발생시 1차 측으로 사고파급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며 정격부담에 적합한 전류치를 사용 한다(3[A], 5[A], 10[A] 등)


● 변압기 절연유 구비조건

① 냉각효과가 클 것

② 졀연내역이 클 것

③ 인화점이 높을 것

④ 응고점이 낮을 것

⑤ 점도가 낮을 것


● 단권변압기를 보통의 변압기와 비교한 장단점?

용도-① 승압 및 강압용 변압기 ② 초고압용 전력용 변압기

• 장점

① 권선량이 감소하여 중량이 감소한다.

② 동손이 감소하여 효율이 좋아진다.

③ 부하용량이 등가용량에 비하여 커져 경제적이다.

④ 전압변동이 적어진다.

• 단점

① 누설임피던스가 적어 단락전류가 크다

② 1차측에 이상전압이 발생시 2차 계통에 영향을 미친다.


● H종 건식 변압기를 유입젼압기와 비교한 장점?

① 난연성 자기소화성으로 화재 및 연소에 대한 안정성이 크다.

②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다.

③ 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④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 변압기의 결선방식에서 △-△ 결선방식의 장단점?

• 장점

① 제 3 고조파 전류가 △결선내를 순환함으로 정현파교류 전압을 유기하여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② 1대가 고장이 나면 나머지 2대로 V결선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③ 각 변압기의 선전류가 상전류의 배가 되어 대전류에 적당하다.

• 단점

① 중성점을 접지할 수 없으므로 지락사고의 검출이 곤란하다.

②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③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부하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 변압기의 결선 방식 중 Y - △ 결선방식(발전소용 승압 변압기)의 장단점?

• 장점

① 출력 측에 Y결선이므로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다

② 입력 측에 △결선이므로 여자전류에 의한 제3고조파의 장해가 적어 기전력의 파형이 찌그러지지 않는다.

• 단점

① 1차와 2차의 선간전압사이에 위상변위가 30° 생긴다.

② 1상에 고장이 생기면 송전할 수 없다.


● 접지극

① 동판 : 두께 0.7[㎜]이상 면적 900[㎠]이상

② 동봉 : 지름 8[㎜]이상 길이 0.9[m]이상

③ 철판 : 외경 25[㎜]이상 길이 0.9[m]이상의 아연도금 가스철관 또는 후강 전선관

④ 철봉 : 지름 12[㎜]이상 길이 0.9[m]이상

⑤ 등복강판 : 두께 1.6[㎜]이상 길이 0.9[m]이상

⑥ 탄소피복강봉 : 지름 8[㎜]이상의 강심이고 길이 0.9[m] 이상


● 접지공사 방법

① 접지극은 지하 75[㎝]이상의 깊이에 매설할 것

② 접지선을 철주 기타금속체를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 접지극을 철주의 밑면으로부터 30[㎝]이상의 깊이에 매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접지극을 지중에서 금속체로부터 1[m]이상 떼어 매설할 것

③ 접지선에는 연전선(OW 제외),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통신용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을 사용, 다만 접지선 을 철주 기타 금속체를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접지선의 지표상 60[㎝]를 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④ 접지선의 지하 75[㎝]로부터 지표상 2[m]까지의 부분은 합성수지관(두께 2[㎜]미만제외) 또는 이것과 동등 이상의 절연효력 및 강도를 가지는 몰드로 덮을 것


● 비접지 3상 3선식 배전 방식에 대한 3상 4선식 다중접지 배전 방식의 장단점?

• 장점

① 고저압 혼촉 사고 시 이상전압이 적다

②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이상전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③ 변압기 절연을 단절연 할 수 있으므로 가격이 저렴하다.

④ 이중고장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다.

• 단점

① 지락전류가 분류되므로 지락전류 검출이 어려워져 고감도 지락계전기가 필요하다.

② 지락전류가 커져서 통신선에 유도장해를 주게 한다.

③ 지락전류가 커서 안정도가 감소된다.

④ 지락전류가 단락전류보다 커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차단기 용량이 증대된다.


● 중성점 직접접지계통에 인접한 통신선의 전자유도장애 경감에 관한 대책을 경제성이 높은 것부터 설명하시오

가. 근본 대책 : 전자유도 전압의 감소

① 기유도전류의 감소

② 통신선과 전력 선간의 상호인덕턴스 감소

③ 선로병행 길리 감소


나. 전력선측 대책(5가지)[전-송중 연 고차]

① 송전선로를 될 수 있는 대로 통신 선로로부터 멀리 떨어져 건설한다.

② 중성점을 접지할 경우에는 저항값을 가능한 한 큰값으로 한다.

③ 고속도 지락 보호 계전방식을 채용한다.

④ 차폐선을 설치한다.

⑤ 지중전선로 방색을 채용한다.


다. 통신선측 대책(5가지)[절 배전 연통]

① 절연변압기를 설치하여 구간을 분할한다.

② 연피케이블을 사용한다.

③ 통신선에 성능이 우수한 피뢰기를 설치한다.

④ 배류코일을 설치하고 절연변압기를 채용한다.

⑤ 전력선과 교차시 수직교차한다.


● 플리커 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전원측과 수용가측 대책

• 전원측 :

① 전용설비에서 공급

② 공급선의 굵기를 굴게 한다.

③ 저압뱅킹방식 적용

• 수용가측 :

① 부스터 설치

② 전동기의 시동전류제한

③ 직렬콘덴서 설치


● 조명용어의 정의 및 단위

① 광속 : F 빛의 양[lm]

② 광도 : I 광원의 밝기(빛의 세기)[cd]

③ 조도 : E 피조연의 발기[lx]

④ 휘도 : B 눈부심 정도(표면의 밝기)[sb][nt]

⑤ 광속발산도 : R 물체표면의 밝기[rlx]


● HID램프(고휘도 방전램프)종류 : 고압수은등, 고압나트륨등, 초고압수은등, 고압크세논방전등, 메탈 할라이드등


● 도로조명 설계 시 고려사항[조광조운보도]

① 조명시설이 도로나 그 주변의 경관을 해치지 않을 것

② 광원색이 환경에 적합한 것이며, 그 연색성이 양호 할 것

③ 조명기구의 눈부심이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할 것

④ 운전자의 방향에서 보는 노면의 휘도가 높고, 조도 균제도가 일정할 것

⑤ 보행자가 보는 노면의 휘도가 충분히 높고, 조도 균제도가 일정할 것

⑥ 도로상의 연적면 조도가 충분히 발고, 서로간의 보행자를 알아 볼 수 있을 것

⑦ 조명기구의 배치 및 배열이 전방도로 선모양의 변화, 교차점, 합류점, 분류점, 특수한 곳의 유무와 차선구조 등을 운전자가 착오 없이 전달하는 것 일것


● 조명설비에서 에너지 절약방안[전등고등슬적고고재창]

① 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의 적절한 병용(TAL조명)

② 등기구의 격등제어 회로구성

③ 고효율 등기구 채용

④ 등기구의 보수 및 유지관리

⑤ 슬립라인 형광등 및 전구식 형광등 채용

⑥ 적절한 조광제어실시

⑦ 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용

⑧ 고역율 등기구채용

⑨ 재실감지기 및 카드키채용

⑩ 창측 조명기구 개별점등


● 얼음극 형광등과 비교한 슬립라인 형광등의 장점과 단점

• 장점 [필순점전관]

① 필라멘트를 예열할 필요가 없어 점등관등 기동장치가 필요 없다

② 순시기동으로 점등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③ 점등불량으로 인한 고장이 없다.

④ 전압변동에 의한 수명단축이 없다.

⑤ 관이 길어 양광주가 길고 효율이 좋다.

• 단점 [점전전]

① 점등장치가 비싸다.

② 전압이 높아 위험하다.

③ 전압이 높아 기동 시에는 음극이 손상되기 쉽다.


● 조명설비의 깜박임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방법

① 백열등 : 직류를 사용하여 점등한다.

② 3상전원 : 3상접속을 바꾸어준다.

③ 전구가 2개씩인 방전등 : 하나는 쵸크형 안정기에 접속 하여 지상역률로 하고 또 하나는 콘덴서형 안정기에 접속하여 진상역률로 한다.


● 조명설비의 전력 절약방법

① 자연채광

② 고효율을 조명채택

③ 조명설비의 적절한 배치

④ 실내 주요 반사

⑤ 균일한 전압유지

⑥ 고역률 방식 채택

⑦ 조명기구 보수관리 설치

⑧ 불필요한 조명 소등


● 조명계측기의 4가지를 측정 목적에 따라 쓰시오 :

   광도계, 조도계, 휘도계, 광속계


● 조명설비의 조도가 시설 당시보다 점차 떨어지는 이유?

① 램프의 동정특성

② 조명기구의 오손특성

③ 실내 주요 반사면의 오손특성 및 변퇴색 특성


● 단락시험 및 무부하시험(개방시험) 회로

① 임피던스전압 : 시험용변압기의 2차측을 단락한 상태에서 슬라이닥스를 조정하여 1차측 단락전류가 1차정격전류와 같게 흐를때 (전류계의 지시값이 정격전류값이 되었을때) 1차측 단자전압을 임피던스전압이라 한다.

② %임피던스=임피던스전압(교류전압계의시값)/1차정격전압

   ×100[%]

③ 동손 : 교류전력계의 지시값을 기준온도 75[℃]로 환산한 값이 된다 (임피던스와트)

④ 철손 : 시험용 변압기의 2차측(고압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슬라이닥스를 조정하여 교류전압계의 지시값이 1차(저압측) 정격 전압값일 때의 전력계의 지시값[W]이다.


● 전류형 인버터와 전압형 인버터 회로의 비교

• 전류형인버터

  ① DC LINK 양단에 평활용 콘덴서 대신에 리액터 사용

  ② 인버터부에 SCR사용

• 전압형 인버터

① 출력의 맥동을 줄이기 위해 LC필터 사용

② 컨버터부에 3상 다이오드 모듈사용


● 접지극

① 동판 : 두께 0.7[㎜]이상 면적 900[㎠] 이상

② 동봉 : 지름 8[㎜]이상 길이 0.9[m]이상

③ 철관 : 외경 25[㎜]이상 길이 0.9[m]이상의 아연도금 가스철관 또는 후강 전선관

④ 철봉 : 지름 12[㎜]이상 길이 0.9[m]이상

⑤ 동복강판 : 두께 1.6[㎜]이상 길이 0.9[m]이상

⑥ 탄소피복강봉 : 지름 8[㎜]이상의 강심이고 길이 0.9[m] 이상


● 접지공사 방법

① 접지극은 지하 75[㎝]이상의 깊이에 매설할 것

② 접지선을 철주 기타금속체를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 접지극을 철주의 밑면으로부터 30[㎝]이상의 깊이에 매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접지극을 지중에서 금속체로부터 1[m]이상 떼어 매설할 것

③ 접지선에는 연전선(OW 제외), 캡타이어케이블 또는 통신 용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을 사용, 다만 접지선 을 철주 기타금속체를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접지선의 지표상 60[㎝]를 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④ 접지선의 지하 75[㎝]로부터 지표상 2[m]까지의 부분은 합성수지관(두께 2[㎜]미만제외)또는 이것과 동등 이상의 절연효력 및 강도를 가지는 몰드로 덮을 것


● 배전용 변전소의 접지목적 및 중요 접지개소

가) 접지목적

① 지표면의 국부적인 전위경도에서 공중 및 운전원을 감전에서 보호한다.

② 지락 및 단락전류등 고장전류나 뇌격전류 유입에다른 기기 외함, 철구, 저압제어회로등의 접지부분 및 대지면의 전위 변동에 대해서 기기를 보호한다.

③ 계통에서의 회로전압, 보호계전기 동작의 안정과 정전차폐 효과를 유지한다.

나) 중요접지 개소

① 일반기기 및 제어반

② 피뢰기

③ 피뢰침

④ 옥외철구

⑤ 케이블 실드선


● 접지구성방식

① 연접접지 : 각기기의 접지를 공통 접지선에 연결함과 동시에 소 내 각 장소의 전위 분포가 균일하게 되도록 접지선과 접지극을 매설하는 방식

② 망상접지 : 대 계통에서는 고장전류가 특히 커서 그에 대응하는 소요접지 저항치나 소 내의 보폭전압, 접촉전압이 문제가 되는 경우나 변전소 구외를 통과하는 일반통행인에 대해 위험한 전압이 걸리지 않게끔 접지선을 망상으로 부설하고 구내외에 극단적인 전위경도가 생기지 않게 하는 방식

③ 단독방식 : 접지를 필요로 하는 개개에 단독으로 접지를 실시하는 것.


● 접지공사

• 제1종 접지공사

  ① CB 외함

  ② PT(특고)

  ③ MOF(특고압인 경우)외함

     (고압 몰드식형 MOF는 접지안해도 됨)

  ④ 유입개폐기 외함

  ⑤ 전력용콘덴서 외함

• 제2종 접지공사

  ① 변압기 2차측 1단자

• 제3종 접지공사

  ① CT 2차측

  ② PT(고압)

  ③ MOF(고압인 경우)외함

  ④ 방식조치를 하지 않은 지중전선의 피복 금속체


● 경부하시 콘덴서가 과대삽입되는 경우 결점?

① 고조파 왜곡의 증대

② 모선 전압의 과 상승

③ 앞선 역률에 의한 전력손실이 생긴다.

④ 설비용량이 감소하여 과부하가 될 수 있다.


● 전기재해를 분류하고 재해종류?

① 억측판단 : 주관적인 판단이나 희망적인 관측에 기인해서 안이한 기준을 가질때(빨리 일을 끝내려거 할때, 과거의 경험에 따른 선입견이 있을 때)

② 착오 : 좌와우를 틀리게 조작한다던지, 전기공사에서 활선과 사선을 잘못 인식한 경우

③ 방심 : 일을 완료해 놓고 끝났다는 기분이 들때, 작업중에 일단락 되었다는 기분이 들 때

④ 부주의 : 다른 관심이나 고민 등으로 신경이 많이 쓰일 때


① 누  전 - 기계적, 전기적인 열화나 노화로 인한 절연파괴

② 감  전 - 기계기구의 접속 및 충전부분의 노출로 인함

③ 정전기 - 마찰전기나 정전유도로 인함


● 단로기의 차단전류 종류?

① 여자전류(충전된 전로를 개폐)

② 무부하 전류(기기를 점검 시 전로의 차단기 동작 후 개방 할 때 또는 모선접속 변경 시)

 

● 참고1(수변전설비 기계기구의 약호 및 용도 또는 역활)

• DS(단로기) : 고장 수리 및 점검 시 전로 분리(용도)

• LA(피뢰기) :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류시키고 그 속류를 차단한다.

• PT(계기용변압기) :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 전압계 등의 전원 사용

• CT(계기용 변류기) : 큰부하 전류를 5[A]이하로 변류하여 전류계 및 과전류 계전기에 공급하여 전류계 측정

• CB(차단기) : 부하전류의 개폐 및 고장전류를 차단한다.

• TC(트립 코일) : 단락, 과부하, 지락등 전로고장시 여자되어 차단기 개로

• OCR(과전류 계전기) : 단락, 과전류등 전로고장시 동작하여 차단기 개로

• GR(지락 계전기) : 지락 고장 시 동작하여 차단기 개로

• MOF(계기용 변성기) : 전력량계를 위한 PT와 CT를 하나의 함에 넣은 것

• COS(컷아웃스위치) : 고장전류 차단 및 무부하시 전로개폐

• PF(전력퓨즈) : 설비의 단락사고 또는 과부하시 사고전류 차단(즉 이상전류로부터 기기보호)

• ASS(자동고장구분개폐기) : 과부하시 단락전류를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고 돌입전류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다.

• INT S/W : 과부하시 단락전류를 자동으로 구분할 수 없고 수동조작만 가능하며 돌입전류 억제 기능을 갖고 있지 않으며, 용량 300[kVA]이하에서 ASS 대신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 개폐기 : 전동기의 기동정지

• ZCT(영상변류기) : 지락사고 시 지락전류 검출


● 참고 2(계전기기구 번호)

27 UVR (부족전압계전기) - 상시전원 정전 시 동작

47 OPR (결상계전기)

49 THR (열동계전기)

50 SGR (선택지락계전기)

51 OCR (과전류차단기) (51G OCGR)

52 CB (교류차단기)

59 OVR (과전압차단기)

64 OVGR (지락과전압차단기) (+GPT가 한세트다)

67 DGR (방향지락계전기)

87 RDF (비율차동계전기)-내부고장 검출보호

   (87T 주변압 보호용 87G 주 발전기 보호용)


● 참고3

 

정상시

사고시

무부하시

부하시

과부하시

단락

DS

 

 

 

PF

 

 

KS(개폐기)

 

 

CB(차단기)

전자접촉기(MC)

 

 

전자개폐기

(MC+THR)

 


● 참고4

① 전력퓨즈는 6.6[kV]이상에 사용

② 특고수전설비결선도에서 PF대신 자동고장구분개폐기(7,000[kVA]초과시에는 Sectionaliz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66[kV]이상은 LS를 사용하여야 한다

③ 특고수전설비결선도에서 차단기의 트립전원은 직류(DC) 또는 콘덴서방식(CTD)이 바람직하며 66[kV]이상의 수전설비에는 직류(DC)이어야 한다

④ 22.9(KV-Y) 1000[KVA]이하인 경우에 간이수전설비결선도에 의할 수 있다.

⑤ 특고간이수전설비결선도에서 300[KVA]이하의 경우에는 자동고장구분개폐기 대신 INT SW를 사용할 수 있다

⑥ 특고간이수전설비결선도에서 300[KVA]이하인 경우 PF 대신 COS 비대칭 차단전류 10[kA]를 사용할 수 잇다. 

 

반응형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