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75 [야구] 야구 수비 포지션별 번호 야구에서 수비 포지션별로 번호입니다. 야구 중계방송에서 병살을 말할 때 6-4-3으로 이어지는 병살 이라고 표현을 하죠^^ 취미/스포츠 2020. 12. 27. 전자제품 대기전력 표시 방법 대기전력이 있는 제품과 없는 제품의 전원부의 표시 방법입니다. 대기전력이 있는 제품은 될 수 있으며 플러그를 뽑아 두는걸 추천 드립니다. ( 대기전력이 없는 제품도 플러그를 뽑아 놓으시는것도 추천!!) 가정의 제품들을 한번 둘러보시고 전기 절약을 해 봅시다^^ 전기/etc 2020. 12. 27. [Windows10] 네트워크 자격 증명 삭제 방법 NAS 기능중에 SM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C에서 NAS로 네트워크 연결해서 PC드라이브처럼 이용하는 서비스인데 처음 접속할 때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입력하게 되는데 내 자격 증명 기억을 체크 해 놓으면 다음 접속시에는 사용자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은 있지만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PC에서는 개인의 자료를 다른 사람이 사용이 가능한 단점도 존재합니다.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방법을 소개 해 드리겠습니다. 1. ▲ SMB 접속시 네트워크 자격 증명을 입력하게 되며 내 자격 증명 기억을 체크 하지 않으면 다음 접속(재부팅)시 자격 증명을 재 입력을 합니다. 내 자격 증명에 체크 하면 다음 접속시 입력창이 뜨지 않습니다. (또 다른방법은 5번에 설명) 2.. 취미/NAS 2020. 12. 27. 가입자 보호기 1. 가입자 보호기 ㅇ 옥외전화선과 옥내전화선과의 접속점/분계점에 설치되어, - 낙뢰 등으로부터 단말기 및 인명을 보호하기 위하여, - 하나의 함체에 일체화된 장치 ㅇ 구성 및 특성 - 피뢰기, 열선륜, 접지선 등으로 구성 - 접지저항 약 100 Ω 이하로 접지되어야 함 전기/통신&소방 2020. 12. 26. 중간 배선반 (IDF) 1. 중간 배선반 (IDF) ㅇ 국사(局舍) 등에서, - 장비 시설계 상호간을 접속하는 분계점을 말하며, - 연결/중계/증폭하는 등의 중간 조정을 주목적으로 설치 됨 2. 구내통신설비 ㅇ 구내통신선로설비에서는, - 배관의 굴곡점이나 선로의 분기/접속을 할 필요지점에 설치 - 주로, MDF로부터 연결된 간선 케이블을 IDF에서 각각의 층이나 지역에 연결하는 역할을 함 전기/통신&소방 2020. 12. 26. 주 배선반 (MDF) 1. 주 배선반 (MDF) ㅇ 외부,내부 회선을 연결하는 배선반 - 옥외 외선을 옥내 장치로 인입하는 곳에 설치됨 - 즉, 외부 선로 시설과 내부 교환 시설과의 단자를 연결시키는 곳 2. MDF 구성 ㅇ 수직측(V측) : 국외 케이블(외선) ㅇ 수평측(H측) : 국내 케이블(내선) ㅇ 케이블 연결 - 이곳에서 케이블은 `선번순으로 배열된 외선측 단자(V측)`와 `가입자번호순으로 배열 된 국내측 단자(H측)`를 점퍼선에 의해 연결하여 회선 구성 ㅇ 외선측 부대장치 - 통상적으로, 외선측에는 열선륜,퓨즈,피뢰기 등 보호장치(피뢰탄기반)가 설치됨 3. MDF 주요 기능 ㅇ 케이블의 국외(局外) 및 국내(局內)의 접속 분계점으로 삼는 기준 - 구내 교환설비를 건물주가 설치운용할 경우, - MDF를 사업자와 가입.. 전기/통신&소방 2020. 12. 26. AWG 규격 1. AWG 규격 ㅇ 선(wire)의 굵기(직경,심선경)에 대한 미국 표준 ㅇ 번호가 작아지면, - 굵기가 굵어짐, 기계적 강도 커짐, 더 낮은 저항, 무거워짐, 가격이 비싸짐 ※ [외부참고] ☞ 위키피아 참조 2. AWG 표 例 ㅇ 구 분 , 직경(㎜) , 단면적(㎟) ㅇ AWG 1 , 7.34822 , 169.6345 ㅇ AWG 2 , 6.54304 , 134.4959 ㅇ AWG 19 , 0.91 ㅇ AWG 22 , 0.643 ㅇ AWG 23 , 0.574 ㅇ AWG 26 , 0.404 ㅇ AWG 49 , 0.028194 , 0.002497 ㅇ AWG 50 , 0.025146 , 0.001986 3. 사용 例 ㅇ 분야별 例 - RS-232 : 22 AWG, 24 AWG - 전화선 : 22 AWG, 2.. 전기/통신&소방 2020. 12. 26. 케이블 카테고리 1. 케이블 카테고리 ㅇ 구내 케이블링 표준인 EIA/TIA 568 및 ISO/IEC 11801 에서는, 전송 성능별 케이블 특성을 여러 카타고리로 나뉘어 구분 함 - [용어유의] ISO/IEC 11801 에서는 category 보다는 class 라고 표현함 ※ 카테고리가 높을수록, - 더 높은 주파수에서도 적은 유전체 손실, 더 좋은 절연, 더 많은 꼬임(twist)을 갖음 . 더 많은 꼬임 : 외부 및 내부선 간의 간섭에 강함 (즉, 꼬임은 간섭을 덜 주고,덜 받음) 2. 케이블 카테고리/구분 ㅇ Category 1 (CAT-1) (EIA/TIA 568에는 언급 없는 카타고리임) - 전통적인 음성급 전화선 정도에 사용 ㅇ Category 2 (CAT-2) (EIA/TIA 568에는 언급 없는 카타고리.. 전기/통신&소방 2020. 12. 26. 이전 1 2 3 4 5 6 ··· 47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