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75 송배전계통 표준전압 1. 송배전계통의 전압을 표준화해서 정한 것이 표준전압 1) 일정한 거리에 전력 송전시 송전전압을 높이면 높일수록 같은 전선로로 보낼 수 있는 전력이 증대하여 유리2) 전압을 높여주면 전선로,각종 기기의 절연내력을 높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소요되는 절연비용증가해서 어느 한도이상이 되면 비경제적이다. 2. 일정 전력을 일정거리에 전송시 가장 경제적인 값이 존재.1) 건설비와 운전유지비를 따져 연간 총지출이 최소로 되는 가장 경제적인 전압2) Alfred still식(중거리송전선로 개략값에 편리) 3. 적당한 전압으로의 통일1) 경제적인 전압값을 개개의 경우에 맞추면 설비또한 각 구간 전압에 맞추어야 한다.2) 전압에 맞춘 설비종류수 증가,호환성 결여,제작비비싸지고 예비품수 증가되어 비경제적이 된다.3).. 전기/전기 기초 이론 2015. 3. 10. 전선의 단면적 계산 공식 및 원의 단면적 공식 원의 단면적 공식 ※ 단면적이란? 일반적으로 물체를 하나의 평면으로 절단하였을 때 그 절단부분인 단면의 면적이다. π r ² = π (D/2)² = π D² / 4 원의 단면적 구하는 공식 A = π * r²A = π / 4 * D² 여기서A = 단면적 (mm²)π = 원주율r = 반지름 (mm)D = 지름 (mm) 단면적을 알때 지름 및 반지름 구하는 공식 r = √( A / π) D = √( A / (π / 4)) 전선의 단면적 계산 공식 ▶ 전선의 단면적(A[㎜²] 구하기 - 도체저항(R) 공식 : R[Ω] = ρ[Ω㎜²/m] x σ x L[m]/A[㎜²] ρ[Ω㎜²/m]:도체의 고유저항표준연동선: 1/58 = 1.7241x10-²[Ω㎜²/m]L[m]:전선 긍장A[㎜²]:도체 단면적σ : 도체의 전.. 전기/전기 기초 이론 2015. 3. 10. 티스토리 무한로딩 및 로딩속도 개선 티스토리 무한로딩 및 로딩속도 개선 얼마전부터 전기매니아 사이트가 무한로딩에 빠져들었습니다. (크롬에서 무한로딩이 더 심했음) 스킨을 변경해서 그런가 해서 다시 예전 스킨을 적용시켜보고 했지만 별로 효과가 없습니다. 그래서 생각한게 플러그인 설정 해 놓은걸 해제시켜보자고 해서 해제시킨결과 무한로딩이 사라졌습니다. 제가 설정해제시킨 플러그인을 한번에 해제시켜서 어떤 플러그인 때문인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플러그인 설정 해제하고 나서 무한로딩은 사라졌다는 것!!! WEBWAIT에서 속도 측정 결과 (http://webwait.com/) ▲ 플러그인 설정 해제 후 속도 1번이 플러그인 설정 해제 하기전 속도이며2번, 3번이 플러그인 설정 해제시킨 속도 ▲ 플러그인 해제 후 사용중인 플러그인 목록 Office/TISTORY TIP 2015. 1. 8. 인입선 및 휴즈용량과 계기 용량 ◎ 인입선 및 휴즈용량과 계기 용량 ○ 인입선 (세부사항은 내선규정을 따름) -가공 CV 케이블 IEC규격[㎟] 계약 전력 [kW] 1상 220V 3상 380V 10 17 44 25 29 75 35 36 93 50 44 114 70 57 146 ※ 150kW 이상부터는 지중인입선 시공 - DV 전선규격[㎟] 계약전력 [kW] 단상 3상 2.6 7 적용불가 3.2 9 적용불가 ○ 휴즈용량 계약전력 휴즈용량[A] 단상 3상 9 29 50A 19 59 100A 29 88 150A 39 118 200A 59 177 300A ○ 계기 용량 계약 전력 [kW] 계기 용량 [A] 단상 3상 E-type[단상] 표준형 5 40(10) 40(10) 7 23 X 23 71 120(30) 29 89 CT부 150/5 39 .. 전기/전기 실무 2015. 1. 7. 전압 강하 허용치 전압 강하 허용치전선의 임피던스와 부하전류에 의해 송전단 전압보다 수전단 전압이 낮아지게 되는데 부하기기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 일반적으로 간선 및 분기회로 모두 각각 2[%]이내의 전압강하가 되도록 전선의 굵기를 선정한다 전압 변동률110[v] 110 ± 6[v] = 104 ~ 116 [V]220[v] 220 ± 13[v] = 207 ~ 233 [V]380[v] 380 ± 38[v] = 342 ~ 418 [V] 전기/전기 실무 2014. 12. 18. 누전 점검 관련 누전 점검 관련 누전점검요령 - 분전반 카바를 분리하여 누전체크를 하여 누전여부를 파악한다. - 누전차단기가 떨어지기 전에 사용했던 제품이 무엇인지,주로 어떠할 때 떨어지는지 각 증상에 대해 물어본다. - 일차적으로 가장 누전이 잘 될 것 같은 제품부터 점검을 한다. (세탁기,냉장고,가스오븐,어항 등) - 분전반에서 나뉘어지는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누전이 된 라인을 점검한다. (전등,에어콘,전열1,전열2) - 누전된 곳이 전열이라면 라인에 꼽혀있는 기기를 누전체크한다. - 전등 혹은 전열라인에서 계속해서 누전이 된다면 라인의 중간부분에 있는 콘센트를 분리하여 라인 양단을 분리하여 앞뒤라인 중 누전되는 라인을 체크한다. (체크된 누전된 라인을 다시 분리하여 체크한다) 누전점검할 때 주의사항. - 메가 .. 전기/전기 실무 2014. 12. 17. 15mA 고감도 누전차단기 사용하는 이유 15mA 고감도 누전차단기 사용하는 이유우리나라는 30mA∙초를 허용값으로 하여 감전 보호용 누전차단기의 성능기준으로 하고있다. 통전에 대한 인체의 생리반응0.5 ~ 5mA 자극으로 느껴지는 정도로서‘감지 전류’라고 부른다.5 ~ 20mA 근육이 수축 경직되어 도체로부터의 이탈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 전류를‘불수의 전류’또는‘이탈한계전류’라고 부른다.20mA ~ 인체 통과 전류가 수십[mA]에 이르면 심장근육이 경련을 일으켜 신체내의 혈액공급이 정지되며 사망에 이르게 될 우려가 있으며, 단시간 내 통전을 정지시키면 죽음 면할 수 있다. '심실세동 전류'라 부른다. 위와 같은인체의 생리반응에 따라 고감도 누전차단기15mA의 0.03sec 의 주목적은 인체감전 보호가 주목적입니다.감전시 치명적 영향을 줄수있.. 전기/전기 기초 이론 2014. 12. 17. 배선용차단기/ 역할/AT AF의미/차단기용량/정격전류 전압 차단전류/ 보호협조/동작특성곡선 배선용차단기(MCCB)배선용차단기란 교류 600V이하, 직류 250V이하의 저압 옥내 전로 보호에 사용되는 차단기로서 영문명칭은 Molded Case Circuit Breaker(MCCB)이며 KS C 8321에는 “개폐기구, 트립장치등을 절연물의 용기 내에 일체로 조립한 것이며, 통상 사용 상태의 전로를 수동 또는 절연물 용기 외부의 전기 조작장치 등에 의하여 개폐 할 수가 있고, 또 과부하 및 단락 등일 경우,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기구를 말한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 차단기의 역할MCCB는 회로에 이상이 생겼을 때 전로를 차단함으로써 기기의 고장이나 화재발생을 방지하는 기기로서 과부하차단 및 단락전류와 같은 사고전류를 차단 하는 역할을 한다 AF, AT의 의미AT는 Ampere Trip, AF는.. 전기/전기 기초 이론 2014. 12. 17.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47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