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210 전압의 종류 전압의 종류 1. 정격전압 : Rated Voltage 정격 주위온도에서 연속하여 가할 수 있는 직류 및 교류전압의 최대값. (내선규정 : 전기사용기계기구,배선기구 등에서 사용상 기준이 되는 전압) 기타의 정격전압은 콘덴서에 연속해서 가할 수 있는 첨두 전압의 최대값 및 퓨즈의 최대사용전압을 말할 때도 있다. 2. 계통전압[공칭전압(KS규정), 표준전압(공급규정), 선간전압]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 전압으로 표준 공칭전압은 KS C 0501에 의해 정해져 있다. 저압 110V, 220V, 220/380V, 440V 고압 3.3KV, 3.3/5.7KV, 6.6KV 특별고압 6.6/11.4KV, 13.2KV, 13.2/22.9KV, 22KV, 22/38KV, 66KV, 154KV, 220KV, 345KV 2.. 전기/전기 기초 이론 2009. 9. 6. 수배전반실 1. 개요:전력을 수전하여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설비중 발전설비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설비이다. 2. 타공종협의사항(건축,기계) 1) 전기실 출입문 ① 전기실 출입문은 변압기반의 반입이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있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건축에서 설계변경하도록 요청한다. ② 수배전반 반입 전에 출입문 및 시건장치 설치를 요청한다. 2) 배수 트렌치 : 전기실에 배수 트렌치가 없는 경우 누수 및 결로 등에 대비하여 배수 트렌치 설치를 적극 요청한다. 3) 장비 반입구 : 보일러실이 없는 경우 전기실에 설치되는 장비 반입구 규격을 확인하여 확대 및 축소를 검토하고 장비 반입 후 즉시 뚜껑을 설치하도록 한다. 4) 바닥 마감 : 장비 반입 후 즉시 바닥 마감이 되도록 하여.. 전기/전기 기초 이론 2009. 9. 5. 형광등 소등후 불이 희미하게 남아있는 현상(잔광현상) 형광등 소등후 불이 희미하게 남아있는 현상(잔광현상) 형광등을 소등한 상태에서 불을 켠 것처럼 희미하게 되는 경우는 220V 지역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불이 희미하게 남아있는 현상을 잔광현상이라 하며, 형광등의 스위치 선이 -선(중성선-N상)에 연결되어 있을 때 발 생됩니다. 잔광현상은 스위치를 +선(캐치상 또는 하트상 , R, S, T상)으로 바꾸어 연결하면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내용추가 1보통 전기공사시 입선을 할때 캐치상(R,S,T상)을 스위치에 연결하게 되고 N상을 형광등기구에 연결하게 됩니다.이렇게 공사를 하게 되면 잔광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허나 반대로 입선을 하였을 경우 잔광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경우에는 세대분전함의 전등 차단기의 결선을 바꾸어 주는 것만으로 해결을 할 수.. 전기/전기 실무 2009. 9. 4. 전기점검요령(누전) ★ 전기점검자의 자세. - 전기에 한해서는 의사와 똑 같다. - 전기기사보다 사용하는 사람이 더 잘 안다. 항상 물어보자. - 5감(촉,시,후,청,미)을 전부 이용하라. - 서둘지 말자. 섣부른 판단은 오진의 첫단추이다. - 때론 장기전을 각오해야 한다. (실제 한달이상 점검한 사례도 있음) ★ 누전의뢰가 들어왔을 때 점검요령. - 분전반 카바를 분리하여 누전체크를 하여 누전여부를 파악한다. - 누전차단기가 떨어지기 전에 사용했던 제품이 무엇인지, 주로 어떠할 때 떨어지는지 각 증상에 대해 물어본다. - 일차적으로 가장 누전이 잘 될 것 같은 제품부터 점검을 한다. (세탁기,냉장고,가스오븐,어항 등) - 분전반에서 나뉘어지는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누전이 된 라인을 점검한다.(전등,에어콘,전열1,전열2.. 전기/전기 기초 이론 2009. 9. 4. 전기안전관리대상 제3조(일반용전기설비의 범위) 다음의 경우를 제외한 모든 전기설비는 전기안전관리 대상 ①전기사업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6호의 규정에 의한 일반용전기설비는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전기설비로 한다. 1. 전압 600볼트 이하로서 용량 75킬로와트(제조업 또는 심야전력을 이용하는 전기설비는 용량 100킬로와트) 미만의 전력을 타인으로부터 수전하여 그 수전장소(담․울타리 그 밖의 시설물로 타인의 출입을 제한하는 구역안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에서 그 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전기설비 2. 전압 600볼트 이하로서 용량 10킬로와트 미만인 비상용 예비발전기 ②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전기설비는 일반용전기설비로 보지 아니한다. ( 다만 아래와 같은 경우 전기안전관리 대상 ) 1. 자가용.. 전기/전기 기초 이론 2009. 9. 4. 전기증설에 따른 전기안전점검대상 전기사업법 73조 2항 관련 75KW 이상(건물 전체 계약용량 합계)사용할 경우 전기안전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피시방,노래방,등 전기사용이 많은 점포 입주시 전기증설을 하게 됩니다. 이에 따른 전기안전관리 대상이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체 5층 건물에 각각 10KW를 사용할경우 계약전력은 50KW가 됩니다.(전기안전관리 대상 아님) 이렇게 몇년을 사용하던중 한 점포가 전기증설을 30KW 하였을경우 80KW가 되어 75KW 이상 이므로 전기안전관리 대상이 됩니다. 이런경우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필증을 한전에 제출하여야 만이 전기증설이 가능합니다. 이에 관련 전기사업법은 자료실 참고 바랍니다. 전기/전기 기초 이론 2009. 9. 4. ATS ATS 자동절환스위치 ; AUTOMATIC TRANSFER SWITCH 위의 그림과 같이 일반상시전원(한전라인)과 발전전원(비상발전라인)이 있습니다. 정전시에 발전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상시전원에서 발전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자동절환스위치를 말합니다. 그림의 좌측이 한전, 우측이 발전기 그리고 가운데 AUTOMATIC TRANSFER SWITCH가있습니다. 좌측으로 스위츠를 닫게되면 일반상시전원을, 우측으로 스위치를 닫게되면 비상발전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정전시에는 비상발전설비 밖에는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평상시에는 그림의 하단에 있는 2차측 ACB(일반상시전원, 비상발전전원)같이 사용하지만, 정전시에는 비상발전전원측의 부하설비만을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발전기의 용량에 맞는 중요설비만을 .. 전기/전기 기초 이론 2009. 9. 3. 직종의 해설 1 갱 부: 터널이나 갱(굴)속에서 토석 채취나 굴착작업에 종사하는 사람 2 건축목공: 건축물의 축조 및 실내 목구조물의 제작,설치 또는 해체작업에 종사하는 목수 3 형틀목공: 콘크리트타설을 위하여 형틀 및 동바리를 제작,조립 및 해체작업을 하는 목수 4 창호목공: 건물에서 목재로 된 창 및 문짝을 제작 또는 설치하는 목수 5 철골공: H빔 BOX빔등 철골의 가공 , 조립 및 해체등의 작업에 종사하는 사람 6 철공: 철재의 가공, 조립, 설치 등의 작업에 종사하는 사람 7 철근공: 철근의 가공, 조립, 해체등의 작업에 종사하는 사람 8 철판공: 철판을 주자재로 하여 제작, 가공, 조립 및 해체를 하는 사람 9샷시공: 철재 창문틀, 샷시 또는 셧터를 제작, 설치, 해체하는 사람 10 절단공: 각종 철제를 .. 전기/건축,토목 2009. 9. 3.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 추천 글 반응형